오늘은 유대인의 디아스포라와 그 영향을 생각해 봄.
1. 디아스포라 (Diaspora)의 뜻
- 그리스어에서 유래한 단어, δια(dia, 멀리) + σπείρω (speiro, 씨를 뿌리다)
; 씨가 멀리 퍼져 나가다.
- 유대인들이 고대부터 여러 나라로 흩어져 살게 된 역사적 맥락에서 많이 사용
- 현대사회에서 유대인뿐 아니라 여러 민족이나 국가의 난민들을 디아스포라 로 명칭하게 됨.
2. 유대인의 Diaspora는 언제부터 시작했는가?
- 바빌론 포로기 (기원전 586년): 바빌로니아의 예루살렘을 정복, 바빌론으로 강제로 이주
- 알렉산더 대왕의 정복 (기원전 4세기): 이집트 알렉산드리아에 공동체 형성
- 로마 제국에 의한 예루살렘 함락 (서기 70년)으로 지중해 전역으로 흩어짐.
이후 십자군 전쟁을 겪으며, 소아시아, 동유럽, 러시아 등으로 확산
- 2차 세계대전후, 시온주의에 의해 유대국 건설, 지식인 층 학문의 자유 찾아 신대륙 이주
* 어떤 경우를 디아스포라라 하는가?
자율적 타율적, 여러지역으로 생존을 위해 흩어진 경우를 의미
디아스포라는 부정적인 경우만을 의미하지 않음. 경우에 따라 우호적 호의에 의해 디아스포라도 있음. .
(알렉산드리아의 초빙에 의한 디아스포라, 이베리아 아랍인의 디아스포라 유대인의 우대 등)
3. 디아스포라에 담겨진 그들의 신념
- 어디에서든 살아갈 수 있고, 언제든 돌아갈 수 있다‘
- 상황에 적응하여야 하고 기회는 만들수 있다
4. 디아스포라 유대인의 성공 비결
1) 율법을절대 잊지 않음.
* 유대인 랍비,요하난 벤 자카이 (기원후 서기 66년 경)의 말
모세 5경인 ‘토라’를 기억하고 따르기만 하면 흩어져 있어도 여전히 유대인이다.
* 토라: 히브리어로 가르침 또는 법을 의미, 하나님께서 모세를 통해 주신 율법을 기록한 경전
2) 고난을 극복하고 최상위 자리를 올라감
. 유대인에 대한 경계 => 오히려 전세계 금융을 석권
이전한 대부분의 국가 농사와 토지 및 노예 소유 금지
=> 상업과 무역으로 생존
=> 돈을 주므르는 사람
==> 자본주의의 기회, 금융의 귀재
5. 유대인 차별의 에시
- 디아스포라가 된 유대인이 죽으면 유럽 대부분의 지역에서 재산이 영주에게 귀속
권력자들은 그들을 죽이거나 추방하고 재산을 몰수하는 경우가 많음.
- 1099년 십자군이 예루살렘을 정복, 유럽인이 이슬람교도와 유대인들을 닥치는 대로 학살
십자군 전쟁,유대인을 핍박하는 전쟁
- 1215년에는 유대인들에게 차별의 표시로 노란 식별 마크 착용을 의무화
- 십자군 원정 실패후 유대인을 탓하는 현상 심화
(왜 성전을 제대로 지키지 못해서 이렇게 우리가 결부되게 하는가?)
- 2차 세계대전 중 히틀러와 나치에 의한 600만명 학살 (홀로코스트).
* 홀로코스트(Holocaust, 1941-1945): 제2차 세계대전 나치 독일과 그 동맹국들이 자행
유대인 및 기타 소수 민족에 대한 대규모의 조직적 학살
==> 시오니즘이 표면적, 공식적으로 대두 및 확산
==> 결과적으로 1948년 이스라엘 국가 건설이 선포 되는 중요 동력.
6. 현대 이스라엘에 대한 (일부) 평가
(유대인이 가진 힘에 의해) 유대인은 무조건 옳다.
(유대인에 대한 죄의식에 의해) 유대인이 그럴만 하다.
그러나, 일부에서는, 피해자가 가해자가 되었구나.
. 반유대주의와 시온주의에 의해 건국된 이스라엘이
. 세계 강대국을 쥐락 펴락하는 것도 모자라
. 팔레스타인 지역에 살고있는 아랍인들에게 지나치게 강경책으로 접근해서,
. 복수를 부르고, 또 다시 보복하고, 재보복하고 그것도 모자라 대리전을 하는 등..
왜 복수가 정당화 되는가?
중세사회 기독교 및 이슬람교의 문화와 연계,
그들은 약속을 법보다 더 중요한 가치로 여김.
예시) 과거 고대 및 중세 사회, 복수하겠노라는 언급은 사회적 약조에 해당
이것을 신뢰하는 사회적 신의에 책임을 지어야 하는 사회문화 현상이 이어져 옴.
약속에 의해 많은 사람이 보는데서 싸움, 보는 사람들이 증인이 되어주며 정당화
==> 법에 접촉되지 않는 문화적 배경을 뒤로 한 행태
결론:
1) 피해자의 성공이 아름다우면 얼마나 좋을까?
그러나 성공한 피해자는 다시 가해자로 둔갑하는 현실, 어디가 끝인지 모름.
2) 유대인 핍박, 그들만의 경험일까?
심리학적으로 볼때, 상대의 무시와 학대는 권위주의적 인성에 의한 것으로,
그들은 비슷한 상황에서 유사 또는 동일 행동
==> 약자, 소수자, 약소민족 및 국가에게 동일하게 못되게 군다.
'갈등 탐구' 카테고리의 다른 글
1차 세계대전 후 베르사유 조약: 패자에게 굴욕까지 주어야 했을까? (7) | 2024.10.27 |
---|---|
1차, 2차 세계대전과 이스라엘 독립 (7) (0) | 2024.10.26 |
오스만 제국시대의 이스라엘 (5): 몽골, 티무르 제국, 오스만 제국 (7) | 2024.10.07 |
중세시대의 이스라엘 역사 (4) (1) | 2024.10.05 |
이스라엘, 미국과 동맹시절이 있었던 이란 (3) | 2024.10.0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