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베르사유 조약 3

독일 제국주의와 독일 식민지

제가 아는 일본인이 애널리스트이라,해외 주식시장 분석을 위해 여러 곳을 방문하였는데..자기가 가본 중 독일이 가장 인상적이었다고 하더군요.왜? 냐고 했더니 신뢰와 질서, 그리고 정직이라고 하더라고요. 오늘은, 이스라엘 독립을 보면서 1, 2차 세계대전을 잠시 보았고, 그 연장선에서 독일에 대해 정리합니다. 포르투갈, 스페인, 영국, 프랑스에 뒤이어 독일까지 뒤늦게 식민지 건설 경쟁에 뛰어들게 되는데요.그 이야기를 보시죠.  독일 제국주의와 독일 식민지 1) 영국이 16세기부터 2020세기까지 식민지를 운영할 때,, 독일은 무엇을 하였을까? - 현재의 독일은 1871년까지 여러 소국들로 나뉘어 있다가, 1871년 프로이센 왕국의 주도하에 독일 제국(Deutsches Kaiserreich)으로 통일되며 제국..

갈등 탐구 2024.10.28

1차 세계대전 후 베르사유 조약: 패자에게 굴욕까지 주어야 했을까?

어제 1차와 2차 세계대전 후 이스라엘의 독립 어쩌면 건국이라고  표현할 수 있는 어마 어마한 사건을 다루었는데요.그 2차 세계대전의 발단이 되었던 1차 세계대전 후 독일과 연합국의 종전 협정이었던 베류사유 조약을 오늘은 들여다 봅니다. 단지 원인과 결과외에도, 그 중간과정에서의 심리적 갈등이 느껴지고요. 다수의 국민을 고려해야 하는 리더들의 의사결정에서 조건없는 자비라는게 있을 수 있을까? 라는 생각도 드네요. 정리를 한번 보시죠.   베르사유 조약 (1919년 6월 28일, 11시 11분 체결) - 제1차 세계대전의 공식적인 종전 협정- 연합국과 독일 간에 체결, 주요 내용은 다음과 같음. o 국제 연맹 (League of Nations) 설립  국제 평화를 유지하기 위한 기구인 국제 연맹이 설립  ..

갈등 탐구 2024.10.27

1차, 2차 세계대전과 이스라엘 독립 (7)

이스라엘을 들여다보고 있습니다.  지난 글에 오스만 제국 시대의 이스라엘을 보았죠.오스만 제국은 전성기 시절 발칸반도, 아랍지역 (이란 제외) 지중해 지역 북 아프리카 일부까지 점유하고, 또 중앙유럽인 오스트리아를 넘보고 그들의 계획은 프랑스 등의 서유럽까지도 점령하는 것이었죠. 그런 오스만 제국이 1차 세계대전 (1914년 7월 - 1918년 11월) 에서 동맹국 (독일, 오스트리아-헝가리, 불가리아, 오스만 제국) 으로 참여합니다. 그런 틈에 아랍지역에서는 민족주의에 입각한 반란들이 일어나게 되는데 이때 오스만 제국은 아랍지역의 대량 학살을 주도했다고 합니다 (이런 배경을 영국이 이용하게 되요. 훗날..) 그러나 1차 세계 대전은 동맹국의 패배, 연합국 (영국, 프랑스, 러시아, 일본, 미국 등)의 ..

갈등 탐구 2024.10.26
반응형
LIS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