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갈등 탐구 14

독일 제국주의와 독일 식민지

제가 아는 일본인이 애널리스트이라,해외 주식시장 분석을 위해 여러 곳을 방문하였는데..자기가 가본 중 독일이 가장 인상적이었다고 하더군요.왜? 냐고 했더니 신뢰와 질서, 그리고 정직이라고 하더라고요. 오늘은, 이스라엘 독립을 보면서 1, 2차 세계대전을 잠시 보았고, 그 연장선에서 독일에 대해 정리합니다. 포르투갈, 스페인, 영국, 프랑스에 뒤이어 독일까지 뒤늦게 식민지 건설 경쟁에 뛰어들게 되는데요.그 이야기를 보시죠.  독일 제국주의와 독일 식민지 1) 영국이 16세기부터 2020세기까지 식민지를 운영할 때,, 독일은 무엇을 하였을까? - 현재의 독일은 1871년까지 여러 소국들로 나뉘어 있다가, 1871년 프로이센 왕국의 주도하에 독일 제국(Deutsches Kaiserreich)으로 통일되며 제국..

갈등 탐구 2024.10.28

1차 세계대전 후 베르사유 조약: 패자에게 굴욕까지 주어야 했을까?

어제 1차와 2차 세계대전 후 이스라엘의 독립 어쩌면 건국이라고  표현할 수 있는 어마 어마한 사건을 다루었는데요.그 2차 세계대전의 발단이 되었던 1차 세계대전 후 독일과 연합국의 종전 협정이었던 베류사유 조약을 오늘은 들여다 봅니다. 단지 원인과 결과외에도, 그 중간과정에서의 심리적 갈등이 느껴지고요. 다수의 국민을 고려해야 하는 리더들의 의사결정에서 조건없는 자비라는게 있을 수 있을까? 라는 생각도 드네요. 정리를 한번 보시죠.   베르사유 조약 (1919년 6월 28일, 11시 11분 체결) - 제1차 세계대전의 공식적인 종전 협정- 연합국과 독일 간에 체결, 주요 내용은 다음과 같음. o 국제 연맹 (League of Nations) 설립  국제 평화를 유지하기 위한 기구인 국제 연맹이 설립  ..

갈등 탐구 2024.10.27

1차, 2차 세계대전과 이스라엘 독립 (7)

이스라엘을 들여다보고 있습니다.  지난 글에 오스만 제국 시대의 이스라엘을 보았죠.오스만 제국은 전성기 시절 발칸반도, 아랍지역 (이란 제외) 지중해 지역 북 아프리카 일부까지 점유하고, 또 중앙유럽인 오스트리아를 넘보고 그들의 계획은 프랑스 등의 서유럽까지도 점령하는 것이었죠. 그런 오스만 제국이 1차 세계대전 (1914년 7월 - 1918년 11월) 에서 동맹국 (독일, 오스트리아-헝가리, 불가리아, 오스만 제국) 으로 참여합니다. 그런 틈에 아랍지역에서는 민족주의에 입각한 반란들이 일어나게 되는데 이때 오스만 제국은 아랍지역의 대량 학살을 주도했다고 합니다 (이런 배경을 영국이 이용하게 되요. 훗날..) 그러나 1차 세계 대전은 동맹국의 패배, 연합국 (영국, 프랑스, 러시아, 일본, 미국 등)의 ..

갈등 탐구 2024.10.26

유대인의 디아스포라 (Diaspora)탐구 (6)

오늘은 유대인의 디아스포라와 그 영향을 생각해 봄.   1. 디아스포라 (Diaspora)의 뜻- 그리스어에서 유래한 단어, δια(dia, 멀리) + σπείρω (speiro, 씨를 뿌리다)   ; 씨가 멀리 퍼져 나가다.- 유대인들이 고대부터 여러 나라로 흩어져 살게 된 역사적 맥락에서 많이 사용- 현대사회에서 유대인뿐 아니라 여러 민족이나 국가의 난민들을 디아스포라 로 명칭하게 됨.  2. 유대인의 Diaspora는 언제부터 시작했는가?- 바빌론 포로기 (기원전 586년): 바빌로니아의 예루살렘을 정복,  바빌론으로 강제로 이주- 알렉산더 대왕의 정복 (기원전 4세기): 이집트 알렉산드리아에 공동체 형성- 로마 제국에 의한 예루살렘 함락 (서기 70년)으로 지중해 전역으로 흩어짐.   이후 십자군..

갈등 탐구 2024.10.08

오스만 제국시대의 이스라엘 (5): 몽골, 티무르 제국, 오스만 제국

오늘은 오스만 제국 (1517-1917년)이 동유럽과 중동을 지배하던 때의 이스라엘을 탐구함.  그런데, 사실은 이스라엘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이슬람 문화를 함께 알아야 함.또 이슬람의 이해를 위해 몽골을 알아야 함.  십자군 전쟁 (1095-1291년)이 간헐적으로 이어지고 있을때, 당시 아랍제국 (사라센 제국, 이슬람 제국)이 발전하고 있었음.그런데 그 아랍제국에서도 어느 지역이 주류를 이루는 가는 시기별로 차이가 있음.그 중 11세기에서 13세기 초반까지 있었던 호라즘 왕조(1077년-1231년)가 있었음.이 왕조는 이슬람을 믿으나 튀르크계열의 사람임.  한편, 그 당시 북쪽의 몽골에서는 징기즈 칸이 (1162-1227년)이 힘을 키웠으며,몽골의 정복전쟁이 지속됨 (1206년-1337년). 그 중 한..

갈등 탐구 2024.10.07

중세시대의 이스라엘 역사 (4)

이스라엘을 알기 위해, 중세시대의 이스라엘을 보겠습니다. 중세시대라 함은 약 기원후 500 또는 600년에서 1500년 까지 약 천년의 시기를 의미합니다. 중세시기에, 유대인은 여전히 주변 강대국의 지배를 받습니다.즉 이때 유대인들은 이슬람제국의 지배를 받게 됩니다. 지난 시간 내용을 잠깐 정리해 볼까요?이스라엘은 기원전 586년 남유다가 망하면서 없어지고,기원전에 약 164년 하스모니아의 독립 왕조가 약 100년간 있었으나이후 로마제국, 비잔틴 제국에 지배를 받게됩니다. 그러나, 이 시기에도 구전되어 내려오던 미쉬나와 탈무드를 히브리어로 남기게 되지요.  이스라엘이 동로마의 비잔틴의 지배아래 있을때,중동지역에 페르시아 제국 (서기 224년 ~ 651년, 오늘날 이란)이 번창하였습니다.그래서 페르시아가 ..

갈등 탐구 2024.10.05

이스라엘, 미국과 동맹시절이 있었던 이란

이란은 이스라엘과  좋았던 시절이 있었는가?-  1948년, 이스라엘 국가 수립시, 이집트에 이어 2번째로 이스라엘의 존재를 인정   이스라엘과 동맹관게, 미국과도 동맹관계- 1979년, 이란의 이슬람 혁명으로 왕정에서 이슬람 공화국으로 바뀜: 이란의 정체성 급 변경  우린 억압받는 이슬람의 수호자, 팔레스타인에 대한 연민 표시  뜻을 같이 하는 대리세력에 지원 시작: 팔레스타인 하마스, 레바논 헤즈볼라 등,  (그러나, 사건 발생시 불인정, 우린 아니다): 그림자 전쟁이라는 용어 등장  비밀리 핵무기 개발 시도, 그러면서도 아니라고 부정 - 1990년 후반,   이란에 대한 이스라엘의 대응: 이스라엘에 적대감 드러내지 않음.   왜냐? 그 보다 더 심각한 이라크의 사담 후세인이 더욱 위협적 인물이었음...

갈등 탐구 2024.10.04

이슬람 국가에서 이란의 포지션

중동에서 이란의 포지션은? - 이슬람권이지만, 아랍국가가 아니다.    ** 아랍(Arab) 국가: 아랍어를 말하는 아랍인이 살면서 이슬람교를 믿는 국가로 서로를 ‘형제 국가’라고 부름.     사우디아라비아, 이집트, 요르단, 이라크, 시리아, 모로코, 오만, 아랍에미리트(UAE), 팔레스타인해방기구(PLO) 등 22개국      시리아는 내전이 발생하면서 자격이 정지된 상태- 그래서, 고립될 수 있다, 연계조직 강화해야 한다.   . 아랍국가가 아니다.     왜? 언어가 다르다:  페르시아어 사용 ( 페르시아 문명을 꽃피운 자랑스러운 후예)         . 종교도 다르다: 아랍인의 대다수인 수니파와 달리 이란인의 절대다수는 시아파   ==> , 미래 적들의 공격을 예방하기 위한 연계 조직 중시  ..

갈등 탐구 2024.10.04

이스라엘과 이란, 그 들은 왜 싸우는가? 최근 어떤 싸움?

그들은 왜 싸우는가? 이스라엘의 생각:   - 이란이 ‘테러리스트’ 단체들을 지원함.    - 그들은 반유대주의적 동기로 인해 이스라엘을 공격함. 이란의 생각:   - 이스라엘은 '큰 사탄'인 미국의 중동 내 동맹국으로, '작은 사탄' 최근 어떤 싸움이 있었는가? - 2023년 10월 7일, 팔레스타인 무장 단체 하마스가 이스라엘 남부 지역 기습,    이란이 무기와 훈련 제공했다는 이유 (이란은 그러지 않았다고 발뺌 함) - 2024년 4월 1일, 이스라엘이 시리아 소재 이란 영사관 공습, 이란인 13명 죽음.   이란 정예군 (IRGC)이 레바논 무장단체인 헤즈볼라를 교육 하기 때문이라는 이유- 2024년 4월 13일, 이란 영사관 공격에 대한 복수, 이란이 사전공지   이란은 이스라엘을 향해 300..

갈등 탐구 2024.10.04

이스라엘 vs 이란 vs 팔레스타인 vs 레바논 vs 예맨 vs 사우디 아라비아 vs 미국의 비교

이스라엘과 이란의 관계를 파악하기 위해 팩트부터 비교하겠습니다. 이때 이스라엘의 우방인 미국,그리고 중동 패권을 위해 이란과 신경전을 벌이는 사우디 아라비아와도 함께 비교합니다.모든 비교는 이스라엘을 중심으로 하겠습니다.  국가 면적(km²)면적비인구 (만명) 인구비명목 1인당 GDP(2024년)명목 1인당 GDP순위명목 1인당 GDP 비이스라엘22,145 1.00965 1.0053,37220위1.00이란1,648,195 74.438,9179.245,310 113위0.10팔레스타인6,025 0.275370.563,506 136위0.07레바논10,4520.475600.584,1362002자료0.08예멘555,000 25.063,4273.55486 185위0.01사우디 아라비아2,150,00097.093,6..

갈등 탐구 2024.10.04
반응형
LIS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