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My summary notes 6

연관성에 대한 카이 스퀘어 검정 (Chi-square test): 연관성 측정 포함

연관성에 대한 카이 스퀘어 검정 (연관성 측정 포함) Chi-square test 를 통해 risk ratio (위험비) 와 odds ratio (교차비, 승산비) 추정을 정리해봅니다: SAS 이용. > 운동습관과 우울과 연관되어 있을까? 어느정도 연관성 있을까? 라는 질문에 의해,900명의 개인을 표본 추출하여 지난 1년 동안 운동을 했는지 여부와 우울한지에 대한 연구를 한다고 하자.  >   "우울" 상태를 열로, "운동" 상태를 행으로 아래의 표를 작성했다고 치자. 즉 노출변수는 운동습관이고, 우울은 연구자가 관심있는 변수임. 다음의 표의 각 셀에 해당 대상자의 명수는 (ifcount) WEIGHT 진술과 함께 PROC FREQ에서 사용될 것임.  DepressionExerciseDepression..

My summary notes 2024.10.30

MS 워드에서 표 안에 글자나 숫자들의 줄 간격을 좁히고 싶을때..

MS 워드 프로그램에서 표 안에 글자나 숫자들의 줄간격을 좁히고 싶을때.. MS 워드 프로그램을 항상 쓰지 않으니, 할때마다 기존에 하던걸 까먹어서 적응하는데 시간이 걸리네요.표가 길거나 내용이 많은 경우, 표 안에 글자 또는 숫자들의 간격을 좁히면 보는 사람이 보기가 편합니다. 예시1> 표안 글자의 줄간격이 넓은 경우, 표가 산만해 보이고, 표가 큰 경우 한 페이지를 넘길 수 있음. 가독성 확 떨어짐. 그러나 워드프로그램 상부에 있는 리본을 조정해 봐도 안되는 경우가 있어요.이미 줄 간격이  1줄이라서 더 이상 줄일 수 없음.  74510.812.5(11.7-13.2)522.00.8(0.4-1.1)2228.72.2(1.6-2.7)47127.89.6(8.2-10.9)  그래서 다음과 같은 질문해봅니다. ..

My summary notes 2024.10.12

[윈도우 11 버전]에서 [그림판]의 [선 굵기] 조정하기

윈도우 11 버전에서 그림판의 선 굵기 조정하기 윈도우 버전이 최신 것으로 바뀌다 보니..은근히 변경 적용해야 할 것이 많네요.윈도우 11버전의 그림판은 이상하게 선 굵기가 비활성화 되어 있더라구요.  그래서 구글 검색해보니..보는 순간 복잡하고..그래서..마음 먹고 잘 들여다 보다 그냥 발견한 사실인데요.그림판에서 위에 있는 '브러시'라는 것을 한번 건드려 주면, 옆에 선의 굵기를 조정할 수 있는 막대가 하나 나와요.그 막대의 높낮이로 선굵기를 조정하면 됩니다. ==> 아 이걸 몰라서 불편했네요.1) 화면이 이런 상태로 나올 수 있어요. 선 굵기가 비활성화 상태 2) 그럼 여기서 위에 있는 브러쉬 그것을 한번 누르세요. 3) 즉 빨간색 동그라미 안의 브러쉬 누르면 오른쪽에 막대자 생깁니다.      막..

My summary notes 2024.10.10

t test의 비모수 통계: 윌콕슨 순위합 검정 (wilcoxon rank sum test)

윌콕슨 순위합 검정 (wilcoxon rank sum test) 1. 언제 이용?   자료가 정규분포하지 않을때의 t test가 부적절시의 비모수 통계법   전체 데이터에서 순위를 매기고, 두 그룹으로 나누어 순위합을 비교후 Z 통계량을 구하고, 통계적 유의성 검정   표를 제시할 때 두 그룹의 순위합이 아니라, 대표값인 중위수 (Q1, Q3)를 보여 줌.    Wilcoxon Rank-Sum (or Mann-Whitney U) test is the non-parametric equivalent of two-sample independent T-test.    It is a test of location, i.e., compares the medians: whether there is (or not) a..

My summary notes 2024.10.10

유병률의 개념 및 종류

유병률의 개념 및 종류 1. 유병률 (prevalence): - 질병 예방 및 방역 관리에 활용되는 특정시점, 또는 특정기간동에 질병이 걸린 사람들이 얼마나 되는지를 나타내는 지표 - 조사 시점이나 기간에 해당 질병을 보유하고 있는 사람의 수를 나타냄.  2. 유병률 (prevalence)의 종류: - 시점 유병률 (point prevalence):   어떤 특점 시점에서의 유병률 - 기간 유병률 (period prevalence):   일정한 기간에 대해 산출한 유병률

My summary notes 2024.09.20

공중보건학의 정의, 역사, 분야, Odds Ratio, and Relative Ratio

1. 공중보건이란 무엇입니까? (공중보건학의 정의) - 사람과 지역사회의 건강을 보호하고 개선하는 과학 - 전세계 그리고 전인류의 건강을 위해 근거기반의 지식을 발견하고, 정책 개발 및 실천을 중시하는 과학 예) 생활 방식, 질병 및 부상 예방, 전염병 감지 및 대응, 사회적 불평등과 건강 등 - ‘공중보건학’보다는 ‘보건학’이라는 용어로 사용 1. What is public health? (Definition of public health) - Science that protects and improves the health of people and communities - Science that discovers evidence-based knowledge and emphasizes policy de..

My summary notes 2023.11.28
반응형
LIS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