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이스라엘 11

중세시대의 이스라엘 역사 (4)

이스라엘을 알기 위해, 중세시대의 이스라엘을 보겠습니다. 중세시대라 함은 약 기원후 500 또는 600년에서 1500년 까지 약 천년의 시기를 의미합니다. 중세시기에, 유대인은 여전히 주변 강대국의 지배를 받습니다.즉 이때 유대인들은 이슬람제국의 지배를 받게 됩니다. 지난 시간 내용을 잠깐 정리해 볼까요?이스라엘은 기원전 586년 남유다가 망하면서 없어지고,기원전에 약 164년 하스모니아의 독립 왕조가 약 100년간 있었으나이후 로마제국, 비잔틴 제국에 지배를 받게됩니다. 그러나, 이 시기에도 구전되어 내려오던 미쉬나와 탈무드를 히브리어로 남기게 되지요.  이스라엘이 동로마의 비잔틴의 지배아래 있을때,중동지역에 페르시아 제국 (서기 224년 ~ 651년, 오늘날 이란)이 번창하였습니다.그래서 페르시아가 ..

갈등 탐구 2024.10.05

이스라엘, 미국과 동맹시절이 있었던 이란

이란은 이스라엘과  좋았던 시절이 있었는가?-  1948년, 이스라엘 국가 수립시, 이집트에 이어 2번째로 이스라엘의 존재를 인정   이스라엘과 동맹관게, 미국과도 동맹관계- 1979년, 이란의 이슬람 혁명으로 왕정에서 이슬람 공화국으로 바뀜: 이란의 정체성 급 변경  우린 억압받는 이슬람의 수호자, 팔레스타인에 대한 연민 표시  뜻을 같이 하는 대리세력에 지원 시작: 팔레스타인 하마스, 레바논 헤즈볼라 등,  (그러나, 사건 발생시 불인정, 우린 아니다): 그림자 전쟁이라는 용어 등장  비밀리 핵무기 개발 시도, 그러면서도 아니라고 부정 - 1990년 후반,   이란에 대한 이스라엘의 대응: 이스라엘에 적대감 드러내지 않음.   왜냐? 그 보다 더 심각한 이라크의 사담 후세인이 더욱 위협적 인물이었음...

갈등 탐구 2024.10.04

이슬람 국가에서 이란의 포지션

중동에서 이란의 포지션은? - 이슬람권이지만, 아랍국가가 아니다.    ** 아랍(Arab) 국가: 아랍어를 말하는 아랍인이 살면서 이슬람교를 믿는 국가로 서로를 ‘형제 국가’라고 부름.     사우디아라비아, 이집트, 요르단, 이라크, 시리아, 모로코, 오만, 아랍에미리트(UAE), 팔레스타인해방기구(PLO) 등 22개국      시리아는 내전이 발생하면서 자격이 정지된 상태- 그래서, 고립될 수 있다, 연계조직 강화해야 한다.   . 아랍국가가 아니다.     왜? 언어가 다르다:  페르시아어 사용 ( 페르시아 문명을 꽃피운 자랑스러운 후예)         . 종교도 다르다: 아랍인의 대다수인 수니파와 달리 이란인의 절대다수는 시아파   ==> , 미래 적들의 공격을 예방하기 위한 연계 조직 중시  ..

갈등 탐구 2024.10.04

이스라엘과 이란, 그 들은 왜 싸우는가? 최근 어떤 싸움?

그들은 왜 싸우는가? 이스라엘의 생각:   - 이란이 ‘테러리스트’ 단체들을 지원함.    - 그들은 반유대주의적 동기로 인해 이스라엘을 공격함. 이란의 생각:   - 이스라엘은 '큰 사탄'인 미국의 중동 내 동맹국으로, '작은 사탄' 최근 어떤 싸움이 있었는가? - 2023년 10월 7일, 팔레스타인 무장 단체 하마스가 이스라엘 남부 지역 기습,    이란이 무기와 훈련 제공했다는 이유 (이란은 그러지 않았다고 발뺌 함) - 2024년 4월 1일, 이스라엘이 시리아 소재 이란 영사관 공습, 이란인 13명 죽음.   이란 정예군 (IRGC)이 레바논 무장단체인 헤즈볼라를 교육 하기 때문이라는 이유- 2024년 4월 13일, 이란 영사관 공격에 대한 복수, 이란이 사전공지   이란은 이스라엘을 향해 300..

갈등 탐구 2024.10.04

이스라엘 vs 이란 vs 팔레스타인 vs 레바논 vs 예맨 vs 사우디 아라비아 vs 미국의 비교

이스라엘과 이란의 관계를 파악하기 위해 팩트부터 비교하겠습니다. 이때 이스라엘의 우방인 미국,그리고 중동 패권을 위해 이란과 신경전을 벌이는 사우디 아라비아와도 함께 비교합니다.모든 비교는 이스라엘을 중심으로 하겠습니다.  국가 면적(km²)면적비인구 (만명) 인구비명목 1인당 GDP(2024년)명목 1인당 GDP순위명목 1인당 GDP 비이스라엘22,145 1.00965 1.0053,37220위1.00이란1,648,195 74.438,9179.245,310 113위0.10팔레스타인6,025 0.275370.563,506 136위0.07레바논10,4520.475600.584,1362002자료0.08예멘555,000 25.063,4273.55486 185위0.01사우디 아라비아2,150,00097.093,6..

갈등 탐구 2024.10.04

이스라엘과 한국의 비교: 면적, 인구, GDP, PPP

이스라엘과 한국을 비교 합니다. 결론부터 말하면, 우리나라 보다 이스라엘은면적도 1/4로 적고,  인구도 약 1/5로 작지만,국내총생산은 높고요, 구매력 평가인 PPP는 낮습니다. 그러므로 우리나라보다 월등히 좋다고 보기는 어려울 듯 합니다.  즉 이스라엘은 명목 GDP는 높지만 물가가 높아 실질 구매력이 낮습니다.우리나라는 상대적으로 실질적인 생활 수준이 더 높은 편입니다. 다음의 정리를 참고해 보면, 1. 면적과 인구 (2022년)   - 이스라엘 : 인구: 955.8만; 면적: 22,145km²   - 대한민국 (남한): 인구: 5163만 (약 5배) ; 면적: 100,378km² (약 4배) 2. 1인당 명목 GDP (Norminal Gross Domestic Product,  국내총생산, 202..

갈등 탐구 2024.10.03

중동지역의 불안정 보면서 이스라엘을 정리하다 (3): 기원후 로마와 비잔틴의 지배아래 유대인의 활동

중동지역의 불안정, 이스라엘의 헤즈볼라와 후티반군에 대한 공격, 그리고 이란의 보복 공격, 이제 다시 이스라엘로 부터 보복 공격의 예고..국제 정세를 예리하게 따라 붙기 위해 오늘도 이스라엘을 정리합니다. 두번에 나누어, 우리는 기원전 이스라엘에 대해 보았습니다. 그 시절에 이스라엘은 자신들이 살던 땅, 팔레스타인을 떠나 이집트로 이주해서 삽니다. 그러나 핍박받는 민족이 되어 다시 자신의 고향으로 돌아옵니다. 돌아온 후 그들은 왕조국가를 세우고, 솔로몬 왕 시대에 성전을 세웠습니다. 그러나, 약 450년만에 바빌로니아로 부터 남유다가 망하게 되고, 솔로몬이 지은 성전도 파괴됩니다. 그리고 유대인인 바빌로니아로 끌려가게 됩니다. 당시 고대 메소포타미아 문명, 이후 헬레니즘 문명이 크게 번성하기 때문입니다..

갈등 탐구 2024.10.03

이란의 이스라엘 공격, 이스라엘의 대응.. 아슬 아슬 (2)

어제 이란이 이스라엘을 미사일로 공격했네요. 참 어려운 결정이었을 듯 합니다.그런데. 오늘 이스라엘이 보복하겠다고 합니다.이런 이런..어제 언뜻 본 만화에서..하마스와 헤즈볼라가 잔뜩 얻어 맞고.. 이란 형이랑 옆집 사는 이스라엘에게 따지러 갔다. 이란 형은 동생들의 팔짱낀 손 에 의해 한껏 어깨를 크게 한 후 이스라엘을 찾아 간다. 이스라엘은 그러나 아무렇지도 않게 모여?하며 나오고, 그 뒤에 수십개의 별로 한 껏 치장한 친구,  덩치 큰 미국이 아무렇지도 않다는 듯이 따라 나온다. 어쨓든.. 평화는 어려워요.이 정세를 우리는 어떻게 받아 들여야 하는지.. 아니.. 나는 이것을 어떻게 해석해야 할지.. 어제 이스라엘의 기원전 역사 중 성서시대 까지 정리했습니다.어제 내용에서 제가 느낀 것은..기원전 시..

갈등 탐구 2024.10.02

중동지역 갈등 이해를 위해, 이스라엘, 그들 부터 들여다 보자 (1).

이스라엘의 레바논의 헤즈볼라, 예맨의 후티군 침공, 그리고 이란과의 팽팽한 갈등이 지속되고 있습니다.  그래서 그 쪽 지역 갈등이 왜 생길수 밖에 없는지, 그 갈등의 배경을 정리해봅니다. 기원전 역사부터.. 오늘날까지 무궁 무진한 역사이지만.. 이스라엘 시점으로 우선은 정리를 하겠습니다. 한번에 쫘악 정리를 못하지만, 조각 조각 모듈을 맞추기 위한 준비과정으로, 오늘은 우선 거칠게 거칠게 큰 틀을 보면 다음과 같이 말할수 있어요. 기원전 시대의 이스라엘과 기원후 시대의 이스라엘을 크게 나눌수 있겠죠? 그리고, 기원전 시대는..1) 성서시대 (BC 17-16 C), 2) 페르시아와 그리스시대 (BC 6-2 C)로, 기원후 시대는.. 1) 로마제국의 지배 (기원전 63 – 기원후 313), 2) 중세시대 (..

갈등 탐구 2024.10.01

이스라엘의 예멘 폭격, 곁에서 본 예멘 사람의 국가 사랑

2024년 9월 30일 입니다. 어제, 예멘 부부에게 저녁 7시경 연락이 왔어요.어디 있냐고? 저녁 먹었냐고?우리는 호텔 북 카페에 있다고 했더니,그리고 예멘 부부가 올가닉 과일을 씻고, 썰고해서 포크까지 꼽아서 가져왔네요.홍콩 출신 부인만 오늘 아침 홍콩으로 떠나고,남편은 홍콩비자가 혹시 나올지 몰라 여기서 일주일 더 기다리다가,만약 안나오면, 예멘으로 가겠다고 하네요.너무 심란할까 싶어 아는 척을 하기가 어려웠는데,안할수도 없는 것 같고요.이야기를 하게 되었어요.국제 정세때문에 비자가 어렵냐고 했더니.사실 그렇다고 부부가 모두 시무룩한 표정으로 답변하네요. 아. 정말..  그래도 한번도 둘다 국가 원망 안하고요.아름다운 국가라고 말하면서..조금 기다리면 괜찮고..이제 우리는 내전은 없다, 외부가 문제..

반응형
LIS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