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분류 전체보기 61

안식년을 위한 1년 비자 받기

저의 기억과 자료를 근거로 비자 만들기에 대한 저의 경험을 나누겠습니다.1. 해당학교와 연락취하기: 우선 저는 말레이시아에는 어떤 대학이 있는가를 검색했습니다. 해당학과의 학과장님에게 메일을 보냈습니다. 긍정적 답년과 질문이 오고 갔습니다. 수많은 서류가 왓다 갔다 했습니다. 힘들었어요. 달라는게 많아서요. 오라는 확답, 그리고 학과에서 발행한 초청장을 받았습니다. 그리고 제가 근무하는 직장에 제출해서 행정적 절차를 취하였습니다. 2. 기다리기, 재촉하기: 그런데 비자관련 정보는 감감 무소식.. 왜냐 대학 본부에서 비자 서류 처리를 해야 하는데.. 그건 대학본부의 일, 학과가 재촉하겠다는 응답.. 기다리는 시간이 약 2개월 걸렸어요. 급기야. 출국이 약 1개월 남았는데도.. 연락이 없어요. 그래서 다시 ..

2024년 2월 29일 말레이시아 쿠알라룸푸르 땅을 처음으로 밟다.

1492년 콜롬버스가 신대륙을 발견한 것 만큼은 물론 아니지요. 그러나, 개인적으로는 꽤 큰 이벤트입니다. 말레이시아를 2024년 2월 29일에 오게 되었습니다. 비자를 PROFESSIONAL VISIT PASS (PVP)를 받았어요. 그것도 출국 2틀전에 말이죠. PVP (전문 방문 패스)는 말레이시아에 단기간 머물면서 특정 전문 방문을 제공하기를 원하는 외국인에게 발급됩니다. 신청서는 신청자가 말레이시아에 입국하기 전에 말레이시아에 있는 스폰서가 제출해야 합니다. 이 비자를 얻는 과정은 조금 안정뒤 공유해보겠습니다. 이곳 말레이시아에서 해야 할게 남았는지 우선 확인 후 글을 올리려 합니다. 부랴 부랴 비행기 표 사고, 지금은 몽키아라 Woodwedged Residence Hotel에 한달간 묶기로 했..

말레이시아의 안식년 그리고 비자

말레이시아에서 안식년을 받기 위해 비자에 대해 알아보았습니다. 우선 할 수 있는 것, 검색이었습니다. 그런데.. 뚜렷하게 맥락이 잡히지 않았습니다. 많은 사람들이 말레이시아에 대한 관심이 많은 것으로 보였습니다. 그러나, 비자에 대한 정보는 명료하게 정리된 정보를 찾을 수 없습니다. 막연하게 말레이시아 비자가 받기 어렵다는.. 모호함의 정보들.. 그래서, 우리나라 교수님들이 자주 이용하는 하이브레인에 질문을 남겼습니다. 말레이시아에어 안식년을 계획하고 있으나 정보가 부족합니다. 그러나 아쉽게 2주가 지나도 한분도 답글이 없었습니다. 정말 말레이시아에서 안식년 관련하여 비자에 대한 정보는 찾기 어려웠습니다. 유튜브를 보았습니다. 그런데 취업비자라고 해야 할까.. 들어도 무슨 말이지 모르겠습니다. 어떻게 하..

무서운 AI, 말 잘들어서 무섭다. 척척 알아서 해서 무섭다.

신년카드 복사해서 보내기 하다가, 미안했어요. 맞다. 내겐 그 분, AI가 있다. 카드를 그리자. 그분과 함께.. 카드 그려주세요. 청용이 무서우니 귀여운 로봇으로 해주세요. 현대화된 한국을 배경으로 해주세요. 모라 모라.. 요청했다. 부탁했다. 그리고 그분의 제시했다. 다음의 카드를.. 무섭다. 그가. 그의 능력이..

새해의 계획: 충고하지 말라!!

매년 이맘때면 새해 계획을 한다. 그리고 설렌다. 성취감도 느낀다. 1년의 시작을 이렇게 하니 이것이 나의 자존감에 미치는 효과는 대단하다. 그중 한 개, '충고하지 말라, 내게 충고를 바라는 사람은 없다. 내가 충고해서 효과가 있을 사람도 없다' 이다. 그런데, 나를 선생님이라고 부르는 전문가 학우가, 박사과정에 입학하게 되는 그 전문가 학생이 새해 인사를 해왔다. 그런데.. 나도 모르게 습관적으로 충고의 메시지를 작성하고 눌러 버렸다.. '하고 싶었던 공부 실컷 해야지 하면 아마 덜 힘들 것이어요. ' ㅋㅋㅋ.. 첫날부터 후회... 미안합니다. 당신은 이미 모든 것을 알고 있는 완전체입니다. 충고는 오직 나에게만 할 수 있는 것!!! 이 충고를 내게 한다. 타인에게 선생님으로도 불려지는 당신에게 충고..

공중보건학의 정의, 역사, 분야, Odds Ratio, and Relative Ratio

1. 공중보건이란 무엇입니까? (공중보건학의 정의) - 사람과 지역사회의 건강을 보호하고 개선하는 과학 - 전세계 그리고 전인류의 건강을 위해 근거기반의 지식을 발견하고, 정책 개발 및 실천을 중시하는 과학 예) 생활 방식, 질병 및 부상 예방, 전염병 감지 및 대응, 사회적 불평등과 건강 등 - ‘공중보건학’보다는 ‘보건학’이라는 용어로 사용 1. What is public health? (Definition of public health) - Science that protects and improves the health of people and communities - Science that discovers evidence-based knowledge and emphasizes policy de..

My summary notes 2023.11.28

가스라이팅 [Gaslighting]에 대하여

코로나 초기 였던 것으로 기억한다. 대전으로 가는 저녁 시외버스에 앉아 어두운 창을 하염없이 보고 있을 때.. 꽤 큰 전화 벨소리.. 도와주세요 하는 것 처럼.. 여보세요. (경상도 사투리 억양의 급한 말). 그거 알아요. 가스라이팅. 들어 봤나? 무슨 소리?? 남을 막 괴롭히는 것.. 우리가 얼마전 이야기 했던 현상.. 나 만원 버스이고, 급한 일이세요? 무슨 일 있어요? 아니 그것, 며칠 전 우리가 말한 것 말야. 가스라이팅이래요. 들어 봤냐고.. 몰라요. 처음 들었고요. 급한 것 아니면 집에 가서 전화할께요. 그래요. (저녁 늦게 집에가서) 전화걸었다. 전화를 다시 받지 않았다. . 이렇게 처음 듣게 된 가스라이팅. 미묘하게 간 보면서 시작해서, 점점 더 드러내놓고 괴롭히는 사람들. 그 괴롭힘을 리..

Check the evidence 2023.11.15
반응형
LIS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