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동에서 이란의 포지션은?
- 이슬람권이지만, 아랍국가가 아니다.
** 아랍(Arab) 국가: 아랍어를 말하는 아랍인이 살면서 이슬람교를 믿는 국가로 서로를 ‘형제 국가’라고 부름.
사우디아라비아, 이집트, 요르단, 이라크, 시리아, 모로코, 오만, 아랍에미리트(UAE), 팔레스타인해방기구(PLO) 등 22개국
시리아는 내전이 발생하면서 자격이 정지된 상태
- 그래서, 고립될 수 있다, 연계조직 강화해야 한다.
. 아랍국가가 아니다.
왜? 언어가 다르다: 페르시아어 사용 ( 페르시아 문명을 꽃피운 자랑스러운 후예)
. 종교도 다르다: 아랍인의 대다수인 수니파와 달리 이란인의 절대다수는 시아파
==> , 미래 적들의 공격을 예방하기 위한 연계 조직 중시
(대리 국가 또는 조직: 예맨, 레바논, 하마스, 헤즈볼라 등)
- 아랍의 맹주라는 아랍역사에서의 포지션, 흔들리수 있다.
. 이슬람의 또 다른 강대국, 친서방, 친미인 사우디 아라비아와 아랍 패권을 둘러 싼 경쟁,
- 연계조직에 대한 이스라엘과 미국의 시선, 이란의 입장은 부당하다.
이스라엘과 미국: 연계조직이라고? 저항의 축이고 테러조직일 뿐.
==> 미국과 이스라엘과 협응, 이란의 핵 프로그램을 집요하게 방해 vs 우린 억울하다.
출처: https://www.hapt.co.kr/news/articleView.html?idxno=156885
반응형
LIST
'갈등 탐구' 카테고리의 다른 글
중세시대의 이스라엘 역사 (4) (1) | 2024.10.05 |
---|---|
이스라엘, 미국과 동맹시절이 있었던 이란 (3) | 2024.10.04 |
이스라엘과 이란, 그 들은 왜 싸우는가? 최근 어떤 싸움? (3) | 2024.10.04 |
이스라엘 vs 이란 vs 팔레스타인 vs 레바논 vs 예맨 vs 사우디 아라비아 vs 미국의 비교 (0) | 2024.10.04 |
이스라엘과 한국의 비교: 면적, 인구, GDP, PPP (159) | 2024.10.0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