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동지역의 불안정,
이스라엘의 헤즈볼라와 후티반군에 대한 공격,
그리고 이란의 보복 공격,
이제 다시 이스라엘로 부터 보복 공격의 예고..
국제 정세를 예리하게 따라 붙기 위해 오늘도 이스라엘을 정리합니다.
두번에 나누어, 우리는 기원전 이스라엘에 대해 보았습니다.
그 시절에 이스라엘은 자신들이 살던 땅, 팔레스타인을 떠나 이집트로 이주해서 삽니다.
그러나 핍박받는 민족이 되어 다시 자신의 고향으로 돌아옵니다.
돌아온 후 그들은 왕조국가를 세우고, 솔로몬 왕 시대에 성전을 세웠습니다.
그러나, 약 450년만에 바빌로니아로 부터 남유다가 망하게 되고,
솔로몬이 지은 성전도 파괴됩니다. 그리고 유대인인 바빌로니아로 끌려가게 됩니다.
당시 고대 메소포타미아 문명, 이후 헬레니즘 문명이 크게 번성하기 때문입니다.
그러나 약 50년뒤에 유대인들은 바빌론을 빠져나와 예루살렘에 제 2 성전을 다시 짓기 사작했고,
약 20년에 걸쳐 기원전 515년에 나라는 없어도 예루살렘의 성전을 재건합니다.
기원전 마지막 시기, 하스모니아 왕조가 독립국가를 이루었으나 약 100년의 시기로 짧습니다.
그리고.. 기원 70년에 대로마 제국에 합병되었습니다.
* 메소포타미 문명: BC 4000년경 도시국가 출현부터 BC 400년경 알렉산더 대왕의 점령까지를 말함.
(아시리아, 바빌로니아, 페르시아 제국등이 속하게 됨.)
* 헬레니즘: 기원전 4세기 알렉산드로스 대왕이 정복한 非그리스 지역의 그리스 문화와 식민화의 확산을 일컫는 말
기원후 70년 로마군에 의해 예루살렘의 두번째 성전이 파괴됩니다.
예수님의 탄생과, 기독교에 대한 탄압이 있었어요.
밀라노 칙령에 의해 313년 그리이스의 공인이 있었습니다.
그러나 유대교 (대다수)는 기독교에 흡수되지 않았으며,
자신들을 위한 메시아를 기다리는 유대교로 남아있게 됩니다.
그래서, 기독교인들에게 반유대주의가 자리 잡게 됩니다.
즉, 유대인은 기독교도 부정하고, 선민주의에 빠져 교만하기까지 하다는 것이죠.
* 반유대주의 (Antisemitism): 유대인이 음모에 능하며, 부정적 일들에 대해 유대인들을 탓하는 것.
그들은 여러 신흥 제국으로 부터 통치 받았지만,
그들의 다름을 잊지 않기 위한 움직임은 당시도 현재진행형입니다.
우리는 이것을 [디아스포라]라고 합니다.
그들은 기원후 210년에 구전내려 오던 [미쉬나]의 모음집을 만듭니다.
이후 유대인은 동.서 로마가 분열된 후 비잔틴 제국에 속하게 됩니다.
그때도 그들의 다름은 당시도 현재 진행진행형입니다.
기원후 390년에는 [탈무드]가 완성됩니다.
* 디아스포라(Diaspora): 팔레스타인을 떠나 세계 곳곳에 흩어져 살면서 관습을 유지하는 유대인
* 미쉬나 (Mishnah ): 바리새파 랍비들을 중심으로 유대문화에 구전되는 토라(율법)을 기록으로 옮긴 문헌
히브리어 3대 고전인 ‘히브리 성서(구약 성서), 미쉬나, 탈무드’ 중 하나
* 탈무드 (Talmud) : 유대인들의 신앙과 율법, 그리고 구전 전통을 보존
유대인의 기원후 활동을 연표로 정리하면 아래와 같습니다.
.<<기원후>>
1) 로마제국의 지배 (기원전 63년 – 기원후 313년)
- 66년 유태인이 로마에 항거
- 70년 예루살렘의 두번째 성전 파괴됨.
- 73년 맛사다에서 유태인의 최후 항전
- 132 – 135년 로마에 대항하는 바르 코크바 반란 (실패)
- 210년 미쉬나 (구전법 모음집) 완성
2) 비잔틴 지배 (313년 – 636년)
- 390년 예루살렘 탈무드 (미쉬나 주해서) 완성
- 614 페르시아의 침입
결론: 유대인은 기원후 중세전시기까지 할동을 볼때,
독립국가를 이루지 못했으나,
그들만의 다름을 지키기 위한 활동이 계속되었음.
구전되어오던 그들의 기록을
미쉬나와 탈무드를 모아 정리하였으며,
이것은 그들만의 다름을 지키기 위한 정신적 활동이기도 함.
출처:
B%AA%A9%20GDP%20%EC%88%9C%EC%9C%84
https://m.blog.naver.com/yhk25145/221706104178
https://namu.wiki/w/%EB%B0%98%EC%9C%A0%EB%8C%80%EC%A3%BC%EC%9D%98
https://snuac.snu.ac.kr/?page_id=35084&search=%EB%AF%B8%EC%89%AC%EB%82%98
https://namu.wiki/w/%EB%B0%98%EC%9C%A0%EB%8C%80%EC%A3%BC%EC%9D%98
https://xn--hopia-op3u.net/kime/nation/history/culture-history.htm
https://overseas.mofa.go.kr/il-ko/brd/m_11471/view.do?seq=1173414
'갈등 탐구' 카테고리의 다른 글
이스라엘과 이란, 그 들은 왜 싸우는가? 최근 어떤 싸움? (3) | 2024.10.04 |
---|---|
이스라엘 vs 이란 vs 팔레스타인 vs 레바논 vs 예맨 vs 사우디 아라비아 vs 미국의 비교 (0) | 2024.10.04 |
이스라엘과 한국의 비교: 면적, 인구, GDP, PPP (159) | 2024.10.03 |
이란의 이스라엘 공격, 이스라엘의 대응.. 아슬 아슬 (2) (1) | 2024.10.02 |
중동지역 갈등 이해를 위해, 이스라엘, 그들 부터 들여다 보자 (1). (3) | 2024.10.0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