Universities in Malaysia

안식년을 위한 1년 비자 받기

쪽파 [Chives] 2024. 8. 31. 15:35

저의 기억과 자료를 근거로 비자 만들기에 대한 저의 경험을 나누겠습니다.

1. 해당학교와 연락취하기: 우선 저는 말레이시아에는 어떤 대학이 있는가를 검색했습니다. 해당학과의 학과장님에게 메일을 보냈습니다. 긍정적 답년과 질문이 오고 갔습니다. 수많은 서류가 왓다 갔다 했습니다. 힘들었어요. 달라는게 많아서요. 오라는 확답, 그리고 학과에서 발행한 초청장을 받았습니다. 그리고 제가 근무하는 직장에 제출해서 행정적 절차를 취하였습니다. 

2. 기다리기, 재촉하기: 그런데 비자관련 정보는 감감 무소식.. 왜냐 대학 본부에서 비자 서류 처리를 해야 하는데.. 그건 대학본부의 일, 학과가 재촉하겠다는 응답.. 기다리는 시간이 약 2개월 걸렸어요. 급기야. 출국이 약 1개월 남았는데도.. 연락이 없어요. 그래서 다시 메일.. 어떻게 된 것이냐? 비행기표를 사야하느냐? 말아야 하느냐?

3. 도착서류 확인하기, E-visa 신청하기: 학과에 보낸 서류는 해당이 안되었고, 말레이시아 이민국에 내는 서류 번들은 다른 것들이었어요. 예를 들어.. 단지 증명서가 아닌, 실이 들어간 칼라 증명서 등... 요청 서류 30개도 넘었어요. 찬찬히 했지요. 내고, 다시 내고.. 그리고 다시 내고.. 기운 쪽 빠지게 되었을때.. 드디어 이민국에 들어갈 서류들, 구체적인 서류들이 우리에게 주어졌습니다. 그게 이런 것들이었어요.

- 말레이시아 이민국 해외이주 서비스 부서에서 전문가 방문 패스 (PROFESSIONAL VISIT PASS) 승인서, 12개월 승인 / E visa 신청안내서/ E-Visa 신청

4. 입국 후 근무지의 비자담당부서에서 1년 비자 수령받기: 대학의 비자 담당 부서에서 요청 서류 다시 확인, 이민국에 비자신청 대행, 여권에 1년 비자 스티커 발급후 해당 대학에서 수령

    참고) 입국시 전문가 비자 라인이 일반 관광입국 심사와는 다름. 비자신청 승인서 등을 증빙하기 위해 출력해서 가져감.  

 

 

반응형
LIST